본문 바로가기

세금2

세금의 기초 : 원천징수의 이해 1. 원천징수의 이해 원천징수란: 소득자가 자신의 세금을 직접 납부하지 않고, 원천징수 의무자(국가, 법인, 개인사업자, 비사업자 포함)가 소득자로부터 세금을 미리 징수하여 국가에 납부하는 제도를 말한다. 은행편을 예로 들면, 예금자는 1억을 은행에 예금하고 연 1%의 이자소득 백만 원을 얻었다고 하자. 예금자는 이자소득에 대한 세금을 납부하여야 하는데, 국세는 14%, 지방세는 1.4%의 세금 154,000원을 예금자가 직접 국가(정부)에 납부하지 않고 은행에서 맡아두었다가 국가(정부)에 대신 납부하는 제도이다. 2. 직장인들의 원천징수 원천징수제도는 소득에 대한 세금을 일일이 매월 국가에서 직접 계산하고 징수할 수 없으므로, 원천징수의무자가 직접 세금을 계산하여 납부하도록 정부의 조세업무에 협력하도록.. 2024. 2. 18.
세금의 기초 : 세금의 구분 (국세와 지방세) 1. 세금의 구분 (국세와 지방세)(대한민국 헌법 제38조) 모든 국민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납세의 의무를 진다.우리가 내는 세금은 중앙정부의 살림을 위해 내는 것과 지방자치단체의 살림을 위해 내는 것으로 구분한다. 중앙정부에 내는 세금을 '국세', 지방자치단체에 내는 세금을 '지방세'라고 한다.1) 국세 > 내국세 > 보통세 > 직접세소득세: 소득에 대한세금법인세: 주식회사 같은 회사의 소득에 대한 세금상속세: 돌아가신 분께 재산을 물려받았을 때 내는 세금증여세: 부모, 친척 등에게 받은 재산에 대한 세금종합부동산세: 일정한 기준을 넘는 토지, 주택 소유자가 내는 세금2) 국세 > 내국세 > 보통세 > 간접세부가가치세: 상품을 사고팔 때 내는 세금개별소비세: 보석, 승용차 등을 살 때 내는 세금.. 2024. 2. 17.